
[nbn시사경제] 임은서 기자
국방부 장관의 비서실장 역할을 하는 국방부 군사보좌관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 대해 해병대 사령관에게 ‘(경찰에) 수사 의뢰 대상을 줄여라’라는 취지로 메시지를 보낸 물증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에서 박진희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과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이 8월 1일 주고받은 대화록을 확보했다고 16일 보도했다.
연합뉴스가 확보한 두 사람의 텔레그램 대화록에 따르면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이던 박진희 육군 준장(현 소장)은 지난 8월1일 낮 12시6분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중장)에게 “확실한 혐의자는 수사 의뢰, 지휘책임 관련 인원은 징계로 하는 것도 검토해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에 김 사령관은 "지금 단계에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나중에 비의자 순분이 안됐을 때 그 다음에 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경찰 조사 이후입니다"라고 답했다.
박 보좌관의 메시지는 당시 수사를 맡았던 해병대 수사단이 7월 30일 이종섭 장관에게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을 비롯, 8명을 과실치사 혐의로 명시해 경찰에 수사자료를 이첩하겠다고 보고한 뒤에 발신됐다.
국방부는 채 상병 사건 수사 축소 지시 의혹에 대해 장관 국회 답변, 언론 브리핑 등을 통해 “장관은 이첩 보류만 지시했을 뿐 특정인 혐의 제외나 수사자료 정리 등의 내용을 언급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설명해온 바 있다.
이같은 설명과 이번에 보도된 메시지 내용은 상충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국방부 군사보좌관과 해병대 사령관과의 개인적인 SNS를 통한 문답이 오고 간 것이라 어떤 의도의 문답을 주고받았는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혐의가 있는 사람은 수사를 받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분들은 필요한 행정적인 지휘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저희가 계속 해왔던 설명과 같은 맥락의 얘기”라고 강조했다.
alstkd0403@naver.com
nbn 시사경제, nb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