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어업 생산 '풍년'...고등어 57%·원양 오징어 80% 어획량 증가
상태바
작년 어업 생산 '풍년'...고등어 57%·원양 오징어 80% 어획량 증가
  • 김희정 기자
  • 승인 2022.02.07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Pixabay
사진=Pixabay

[nbn시사경제] 김희정 기자

해양수산부는 2021년 국내 어업 총생산량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375만6000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조업활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연근해, 양식, 원양 등 어업 생산 전반에서 고르게 증가했다.

작년 국내 어업 총생산량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자료=통계청 어업생산동향)
작년 국내 어업 총생산량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자료=통계청 어업생산동향)

▲연근해 어업

작년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총 94만1000톤으로, 2020년 생산량에 비해 약 1% 증가했으며, 최근 5년 평균 생산량에 비해서도 소폭 증가(0.3%)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을 살펴보면, 멸치 14.3만 톤(33.8%↓), 고등어 12.2만 톤(57.3%↑), 갈치 6.3만 톤(4.1%↓), 오징어 6.1만 톤(7.5%↑), 꽃게 2.0만 톤(27.8%↑)을 기록했다.

고등어는 대마난류의 세력 강화와 대형선망 어업의 휴어기가 기존 3개월에서 2개월로 줄어들면서 조업일수가 증가한 것도 고등어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꽃게는 2020년 여름 긴 장마로 강수량이 증가하여 영양염류, 플랑크톤과 같은 먹이생물이 많아지는 등 어린 개체의 생육조건이 크게 개선돼 개체량이 늘어났고, 그 결과 봄·가을 어기 모두 어획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징어는 2021년 봄~여름철 서해안 수온이 평년 대비 0.5~1.5℃ 상승하면서 남쪽에 있던 오징어 어군이 우리 조업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서해의 생산량이 늘어났고, 동해안도 오징어 주 조업시기 시작과 함께 북측 수역에 머물던 오징어 어군이 우리 해역으로 진입하면서 어획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반면 멸치는 어군의 주산란기인 7~8월 기간에 남・서해 연안에 펼쳐진 고수온의 영향으로 초기 생존율이 낮아져 생산량 대폭 감소로 이어졌다. 코로나19에 따른 마른멸치 소비 위축과 가격 하락으로 인해 멸치 조업 어선의 출어일 수도 줄어들며 멸치 생산에 악영향을 미쳤다.

▲양식업

2021년 양식업 생산량은 총 233만30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에 비해 4.6%, 전년에 비해 1.1% 증가했다.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생산량은 약 178만 톤이었으며 주요 어패류 생산량은 굴 30.6만 톤(1.9%↑), 홍합 6.4만 톤(2.7%↑), 넙치 4.2만 톤(4.6%↓), 전복 2.3만 톤(14.5%↑), 멍게(우렁쉥이) 1.7만 톤(43.0%↓) 등으로 나타났다.

2021년 상반기 평년 수준의 생산량을 회복했던 굴은 2021년 하반기에 경상남도 통영시, 고성군 등을 중심으로 폐사가 발생하는 등 생산이 다소 부진하였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여, 2021년 총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전복은 2021년 개체 성장이 예년보다 양호하여 생산량이 전년 및 평년 수준을 웃돌았으며, 대표적인 어류 양식어종인 넙치(광어)는 입식량 감소로 전년 동기에 비해 생산량이 5% 감소했다.

멍게의 경우 전년에 발생한 빈산소수괴의 영향으로 2021년 상반기 생산량이 전년 동기간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등 생산이 원활하지 못해 2021년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보다 감소한 1만7000톤을 기록했다.

▲원양 어업

2021년도 원양어업 생산량은 43만90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6만 톤)에 비해 4.5% 감소했고, 전년(43.7만 톤)에 비해 0.4%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18.9만 톤(10.9%↓), 오징어류 6.8만 톤(79.4%↑), 황다랑어 6.0만 톤(1.7%↑), 눈다랑어 2.3만 톤(0.9%↓), 명태 2.7만 톤(2.1%↑)으로 확인됐다.

2021년 원양어업 생산량 증가는 오징어류가 견인했다. 오징어는 남서대서양 어장의 어황 호조로 지난해 대비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 평균 생산량 대비 112% 증가하였다.

가다랑어의 경우, 중서부태평양에서 조업하는 참치선망 어선이 감소해 전년 대비 생산량이 감소했다. 이 수역에서 조업하는 연승어선이 어획하는 눈다랑어와 황다랑어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어획량을 기록했다.

꽁치와 대구는 전체 어획량이 전년보다 27% 이상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어장 불황에 따른 어획량 감소로 추정된다.

작년 내수면 생산량은 4만2600톤을 기록해 최근 5년 평균 생산량과 2020년에 비해 각각 20.9%, 25.6% 증가했다. (자료=해양수산부 제공)
작년 내수면 생산량은 4만2600톤을 기록해 최근 5년 평균 생산량과 2020년에 비해 각각 20.9%, 25.6% 증가했다. (자료=해양수산부 제공)

▲내수면 어업

2021년 내수면 생산량은 총 4만26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3.52만 톤)과 2020년(3.39만 톤)에 비해 각 20.9%, 2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뱀장어(1.6만 톤, 61.2%↑)와 왕우렁이(0.8만 톤, 32.7%↑) 양식 생산 증가가 내수면 생산량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뱀장어 생산량은 2020년, 2021년 자연산 실뱀장어가 많이 잡히면서 입식량이 늘어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021년 국내 어업생산금액은 9조2400억 원으로 2020년 보다 5.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원양어업(1.31조 원, 25.8%↑)과 양식업(3.26조 원, 12.8%↑)이 전체 어업생산금액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연근해 어업은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부진에 따른 가격 하락이 크게 작용해 전체 생산금액이 감소(4.14조원, 5.1%↓)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수산자원 관리와 어장환경 개선 등으로 어업인의 수산물 생산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nbn 시사경제, nbnbiz


주요기사